아이의 건강한 생명을 지키기 위해 365일 24시간 최고의 진료서비스를 제공하겠습니다.
01. 사람들에게 천식 , 알레르기성 비염 및 아토피성 피부염 등의 알레르기 질환을 유발시킬 수 있는 집먼지는 곰팡이나 그 포자 , 동물 털이나 비듬 그리고 집먼지 진드기 등의 성분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 중 집먼지 진드기 (Dermatophagoides farinae, Dermatophagoides pteronyssinus) 가 가장 흔한 원인으로 작용한다.
진드기는 사람 피부에서 탈락된 비듬 등을 먹고 살며 , 이들의 배설물들이 집먼지 알레르기의 주요 성분이 된다.
진드기가 죽은 뒤에도 집먼지의 잔재들이 계속 알레르기를 일으킨다.
01. 진드기가 살아갈 수 있는 최적 온도는 25 ~ 28 ℃ 이고 습도는 75 ~ 80℃ 이다. 이와 같이 진드기는 습하고 따뜻한 곳을 좋아한다. 그러므로 이불이나 침대 매트리스가 진드기 기생에 가장 적합한 장소이고 이외에 베개 , 담요 , 카펫 , 커튼이나 치장된 가구 등이다. 암컷 진드기는 매 3 주마다 한번에 25 ~ 30 개의 알을 난다.
01. 사람들에게 천식 , 알레르기성 비염 및 아토피성 피부염 등의 알레르기 질환을 유발시킬 수 있는 집먼지는 곰팡이나 그 포자 , 동물 털이나 비듬 그리고 집먼지 진드기 등의 성분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 중 집먼지 진드기 (Dermatophagoides farinae, Dermatophagoides pteronyssinus) 가 가장 흔한 원인으로 작용한다.
진드기는 사람 피부에서 탈락된 비듬 등을 먹고 살며 , 이들의 배설물들이 집먼지 알레르기의 주요 성분이 된다.
진드기가 죽은 뒤에도 집먼지의 잔재들이 계속 알레르기를 일으킨다.
집먼지 진드기를 어떻게 제거할 수 있는가
침실
01. 카펫는 진드기가 생활하는데 가장 좋은 곳이기 때문에 모두 치운다.
02. 모든 이불이나 매트리스는 밀폐된 플라스틱 커버로 완전히 씌우고 지퍼 부위는 테이프로 붙인다. 그 위는 면 패드 커버로 다시 씌운다. 커튼 대신 블라인드를 사용한다.
03. 베개는 세탁이 가능한 폴리에스터 소재를 쓰고 적어도 매 2 년마다 교체한다. 폴리에스터는 면 소재이불 . 털을 이용한 제품은 사용해서는 안 된다.
04. 모든 침구는 적어도 매 1~ 2 주마다 뜨거운 물 (60℃ 이상 ) 에 세탁한다. 찬물 세탁이나 드라이로는 진드기를 줄일 수 없다.
05. 침실에서는 책 , 털로된 인형 , 기타 장식들을 없애도록 한다.
06. 타인이 같은 방을 사용할 경우 환자와 동일하게 모든 것을 적용시킨다.
07. 2 단 침대 사용시 아래층을 사용해서는 안 된다.
08. 옷은 항상 옷장에 넣고 문을 꼭 닫아두고 통풍이 안된 가구는 사용해서는 안 된다.
09. 방안 청소는 최소한 1 주일에 한 번 하는데 집먼지를 닦아낼 수 있는 젖은 면을 사용한다. 청소를 할 경우는 가능하면 환아는 자리를 피하고 적어도 2 시간 이상 경과한 후에 들어오도록 하며 , 불가능할 경우 마스크를 착용한다.
10. 진공청소기를 사용할 경우에는 2 중으로 되어있는 먼지주머니 (bag) 을 사용한다.
11. 박제동물은 없애고 애완동물은 키우지 않도록 한다.
실내습도 조절
01. 에어컨이나 제습기를 사용한다.
02. 실내습도를 유발할 수 있는 분무기와 같은 기구들은 사용하지 않는다. 요리나 샤워를 할 때는 주방이나 욕실이 환풍이 잘 되도록 한다.
03. 진드기는 50% 이하에서는 살지 못하므로 상대습도를 40 ~ 50% 로 유지한다.
공기여과기
01. 값비싼 공기 여과기는 진드기나 다른 알레르기 유발 물질 제거에 별로 도움이 되지 못한다.
가스히터
01. 가스 난로 , 비통풍성 가스 히터는 오히려 습도를 증가시키거나 위험한 가스를 배출하여 공기 오염을 유발하기 때문에 이들 대신에 전기나 통풍이 잘되는 가스 히터를 사용한다.
집먼지 진드기 살충제
01. 진드기를 죽일 수 있는 약제들이 개발되어 판매되고 있는데 아직 장기적인 효과가 확인되지 않고 있기 때문에 본 약제 사용은 좀더 두고 보아야 한다. 본 살충제는 진드기의 배설물 , 알 등에는 효과가 없다. 그러나 탄닌산은 진드기 자체에는 효과가 없으나 진드기 배설물과 알을 파괴시키는 데는 효과가 있다.
진드기 살충제 : Acarosan (benzyl benzoate), Primiphos methyl, Natamycin, 탄닌산 등이 있다.
집먼지 진드기 회피요령
01. 세탁 가능한 폴리에스터 베개를 사용 , 매 2 ~ 3 주마다 뜨거운 물에 세탁하며 , 완전히 건조 시킨다.
02. 침대 매트리스 위에 먼지를 차단하는 커버를 씌운다.
03. 세탁 가능한 시트 , 베개 커버나 담요 등을 사용하고 뜨거운 물에 세탁한다.
04. 카펫을 치운다. 세탁이 가능한 소재의 카펫을 사용한다.
05. 통풍구에 여과기에 설치한다.
06. 방에는 가능한 한 먼지를 유발하는 물건을 치운다. 세탁 가능한 커튼을 사용하고 블라인드를 이용한다.
07. 속을 넣은 가구 대신 나무나 플라스틱 가구로 대체한다.
08. H.E.P.A 필터가 있는 공기 청정기를 이용하여 알레르기 유발입자들을 제거한다.
09. 에어컨은 진드기의 성장을 촉진시키는 고열과 습기를 막아준다.
10. 벽에 거는 깃발이나 , 벽걸이 장식용 술이나 다른 먼지를 모으는 것을 피하고 먼지가 덜한 장난감을 사용하고 털 달린 인형은 세탁한다.
11. 서랍과 벽장을 자주 청소하고 집안일을 할 때는 잘 맞는 얼굴 마스크를 착용한다.
12. 만약 겨울에 가습기를 사용한다면 지나치게 습하게 하는 것을 피한다.
13. 침실과 벽장 문은 꼭 닫아 둔다.
14. 진공청소기를 사용하여 알레르기 발생물질을 억제한다.
침실에서의 먼지제거
01.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물질이 통과하지 못하게 하는 지퍼 달린 집먼지 방지용 덮개를 이용하여 베개를 씌우거나 2 주마다 더운 물로 베개를 세탁해 주십시오. 땀이 기화하여 전달되는 것을 가능케 하는 Allergy Control Covers 와 같은 덮개들이 가장 이상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02.알레르기를 일으키는 물질이 통과하지 못하게 하는 지퍼가 달린 먼지 방지용 덮개로 요와 박스스프링을 씌우십시오. (만약 방에 침대가 한 개 이상 있다면 모두 싸야 합니다.)
03.모든 침구를 2 주마다 더운물 (55℃) 로 세탁하십시오. 요와 털 담요는 피하십시오. 깃털이불은 지퍼가 달린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물질이 통과하지 못하는 먼지 방지용 덮개로 씌워야 합니다.
04.카펫을 치우십시오. 만약 이것이 가능하지 않다면 해결책은 주기적으로 먼지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입자를 없애는 것입니다. 이때 먼지 진드기를 죽이는 스프레이를 사용하면 먼저 진드기의 수를 줄이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05.온풍기 입구에 있는 공기를 깨끗이 하기 위해 더운 공기가 나오는 통풍구에 여과기를 설치해 주십시오.
06.무거운 커튼과 블라인드는 피해야 합니다. 대신에 창에 다는 차양을 사용하고 만약 커튼을 사용한다면 그것들을 자주 세탁해 주십시오.
07.속을 넣은 가구 대신 이를 나무나 플라스틱 가구로 대체하십시오.
08.H.E.P.A 필터가 있는 공기청정기를 설치하여 알레르기 입자 등을 제거해야 합니다. 방 크기에 적당한 청정기를 선택해주도록 하고 한 시간에 여섯 번 정도 환기시키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H.E.P.A 필터가 장착되지 않은 공기청정기는 효과적인 힘을 발휘할 수 없으며 공기청정기를 사용할 때에는 절대로 카펫 위에 그냥 놓아서는 아니 됩니다.
09.에어컨은 진드기의 성장을 촉진시키는 고열과 습기를 막아 줄 수 있습니다.
10.서랍이나 벽장을 자주 깨끗이 청소하여 주로 집안 청소와 다른 집안일을 할 때에는 잘 맞는 얼굴 마스크를 착용하도록 하십시오.
11.만약 거울에 가습기를 사용한다면 지나치게 습하게 하는 것을 피하십시오. 진드기는 상대습도 75 ~ 80% 에서 가장 잘 성장하고 습도가 50% 이하에서는 살 수 없습니다
이상적인 상대습도는 40 ~ 50% 입니다 습도기를 이용하여 적정습도를 유지시키는 것이 좋습니다.
12.벽장에 있는 모든 문을 닫고 보관하십시오.
13.진공청소기로 청소를 할 때는 높은 알레르기 발생물질 억제력을 가진 진공청소기를 사용하거나 다중 먼지주머니를 사용하고 알레르기 발생물질이 빠져나가는 것을 줄이는 여과기를 사용하면 집먼지에 노출되는 것을 줄일 수 있습니다.
집먼지 알레르기 발생물질을 줄이기 위한 작업을 요약해보면
01. 알레르기 발생물질이 통과하지 못하는 덮개로 베개를 싸거나 2 주마다 더운물 (55℃ 이상 ) 로 세탁하여 주십시오.
02.알레르기 발생물질이 통과하지 못하는 덮개로 요와 박스스프링을 싸주십시오.
03.담요는 2 주마다 뜨거운 물로 세탁되어야 합니다.
04.깃털이불은 알레르기 발생물질이 통과하지 못하는 덮개로 싸거나 2 주마다 뜨거운 물로 세탁해도 됩니다.
05.2 주마다 뜨거운 물로 침대세트 ( 시트와 베개 ) 를 세탁하십시오.
06.가능하다면 침실 카펫을 제거하십시오.
07.만약 카펫을 제거할 수 없다면 효과적인 집먼지 제거용 스프레이를 사용하십시오.
08.카펫 유지법
09. 마스크를 착용하고 일주일에 한번씩 진공청소를 하십시오 .
10. 알레르기 발생물질을 제거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해 집먼지 제거용 스프레이로 카펫을 청소하십시오.
11. 만약 난방기를 사용한다면
12. 침실에서 공기통풍구를 닫고 전기 난방기를 사용하십시오.
13. 통풍 통로에 정전기 여과기를 사용하십시오.
14. 중앙 정전기 시스템을 사용하십시오.
15. 외부에서 오는 먼지를 모으는 요소를 제거하십시오.
고려사항
01. 습도를 낮추기 위한 시스템을 작동시켜 주십시오 .
02. 에어컨디셔너나 제습기를 이용하십시오.
03. H.E.P.A 필터가 부착된 공기 청정기를 사용하여 먼지를 제거시켜 주십시오.
평 일/공휴일 오전8시 ~ 오후9시
토요일/일요일 오전8시 ~ 오후6시
점 심 시 간 12:30 ~ 13:30
저 녁 시 간 17:00 ~ 18:00
대표 : 김숙자 | 상호 : 김숙자소아청소년병원 | 의료법인 한미의료재단 | 사업자등록번호 : 301-82-17069 | 주소 : 충북 청주시 흥덕구 직지대로 745 (운천동 965)
| Tel. 043) 263-8280 | Fax. 043) 215-8288 |
COPYRIGHTS Ⓒ Kimaookza ALL RIGHTS RESERVERD
대표 : 김숙자 | 상호 : 김숙자소아청소년병원 |
사업자등록번호 : 133-90-16860 | Tel. 043) 263-8280 주소 : 충북 청주시 흥덕구 직지대로 745 (운천동 965)
COPYRIGHTS Ⓒ Kimaookza ALL RIGHTS RESERVERD